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병 고치는 대성통곡
    군남의 글/삶의 이야기 2015. 8. 4. 20:05

    초상집에서 울음이 사라져 가고 있습니다.   좀 아쉬운 나이에 죽었거나 억울하게 죽었거나 고인과의 각별한 사이에 있었더라면 더 많이 울었지요.   부모님이 돌아가셨다면 웬지 북받치는 것이 많아 뱉어내면서 곡소리가 더 컸지요.   그런데 언제부턴가 곡소리가 사라져 갑니다.

     

    어릴적부터 궁금했던게 있습니다.   꼭 물어보고 싶었지만 묻기가 좀 어색했지요.   또 묻고 싶었지만 지나면 잊곤 합니다.   초상 치르며 엄청 운 여인들을 보면 한결같이 얼굴에 붉으스레 홍조를 띄웁니다.   피가 잘 흐르는 사람처럼 뽀얗게 변하곤 합니다.

     

    평소에 핏기없는 얼굴이었던 여인들도 뽀얗게 변합니다.   표현하기가 좀 그렇습니다만 아주 건강한 모습으로 확 바뀌어 가는 것 같습니다.   피부도 굉장히 부드럽지요.  이때의 모습을 사진으로 찍어 뒀다가 나중에 물어보고 싶었습니다.   잠을 못 잤을텐데 그런 기미도 보이지 않습니다.

     

    초상집에서 본 붉으스레한 건강미 넘치는 모습의 여인들의 눈빛은 한결같이 초롱초롱합니다.   내성적인 성격의 여인도 활달합니다.   묻지는 못했지만 화두로 남아 있습니다.   어쩌면 몸 속 깊은 곳의 근육을 강렬히 움직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잃어버린 사람에 대한 슬픔의 기억이 확 떠오르며 몸과 마음이 하나되어 온 근육을 강렬히 움직였다고 봅니다.   물 기운을 동반한 기혈의 왕성한 흐름이 아닐까 싶습니다.   울음이 북받치지는 않더라도 옆사람이 통곡을 하면 함께 울게 됩니다.

     

    체면때문에 울지 못하는 사람이 안타깝지요.   화장 지워질까봐 못 우는 바보는 없을 것입니다.   울때는 실컷 울어야 합니다.   울다보면 가슴에 맺힌 울혈이 확 풀어져 버립니다.   웃음으로 병 고친다는 말에는 큰 믿음이 없습니다.   그러나 울음으로 고친다는 말이 있다면 믿을 수 있습니다.

     

    체험담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