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두개골의 결함으로 오는 학습장애, 자폐증, 주의력 산만 치료
두개골의 결함으로 오는 학습장애, 자폐증, 주의력 산만 치료
요즘에는 어린이들 가운데 주의력이 산만하거나, 자폐, 또는 학습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이들을 많이 보게 됩니다. 그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겠으나 두개골의 결함으로 인하여 이런 경우들이 발생할 때는 두개골을 바로 잡아 줌으로써 해결할 수 있습니다. 어른들 가운데도 어떤 것을 공부하려고 하는데 집중이 잘 안되는 경우 두개골 결함으로 인하여 그럴 수 있으니 이 방법을 이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이런 경우는 입천장 윗이빨 바로 뒤에 딱딱한 곳이 볼록하게 올라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손가락으로 자가진단을 해 보시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일반 사람이 하나의 주제에 관하여 집중을 할 수 있는 시간이 30초라고 합니다. 그러니 본인 스스로 주의력이 산만하고 집중력이 나쁘다고 생각하시는 경우 중에 많은 경우가 실제로는 문제가 있지 않고 일반적일 수 있음을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두개골 결함이 있는지 테스트 하는 방법
환자로 하여금 검지 손가락 양쪽 끝으로 입천장에 대도록 합니다. 그리고 쏘아스 근육을 테스트 합니다. 환자가 검지 손가락으로 입천장에 대기 전에 쏘아스 근육을 먼저 테스트 하였을 때는 강하게 반응을 하였는데 양손 검지 손가락으로 입천장에 댔을 때 이 쏘아스 근육이 약해 진다면 두개골 결함이 있는 것입니다. 이것이 숨어 있어서 안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두 검지 끝으로 환자의 입천장을 댄 상태에서 환자로 하여금 혓바닥 끝을 입천장에 대게 하고 다시 쏘아스 근육을 테스트 합니다. 숨어 있었다면 이때 약하게 나타날 것입니다.
두개골 결함 바로잡기
치료사가 시술용 장갑를 낀 상태에서 한쪽 손 검지로 환자의 입천장에 볼록 올라온 부분을 밀어 올리고 동시에 한손으로는 환자의 머리 위에 대고 밀어 줍니다. 환자가 숨을 들이쉴 때 7-8회 반복합니다.
환자 스스로 바로잡기
1. 환자 스스로도 얼마든지 혼자 바로잡기를 할 수 있습니다. 환자는 자신의 엄지를 사용하여 입천장을 밀어 올리고 동시에 다른 한손을 머리 위에 올려서 아래로 밉니다. 숨을 들이쉬는 타이밍에 반복적으로 하시면 됩니다.
2. 이 치료로 집중력과 기억력이 향상됩니다. 그러나 어떤 공부를 하거나 읽다가 기억이 잘 안되거나 집중력이 떨어질 때 이 방법을 하면 효과가 있습니다.
3. 학습장애나 자폐증, 또는 주의력 산만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은 한번에 이 기법을 많이 하기 보다는 매일 조금씩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4. 어린 아이를 치료할 때는 아이 엄마를 대리자로 해서 치료를 하면 됩니다.
주의력이 산만하거나 자폐가 있는 아이들의 많은 경우가 림프조직이 막혀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이런 아이들이 가만히 있지 못하고 몸을 자꾸 움직이는 것입니다. 그것은 스스로 막힌 림프를 뚫으려고 몸부림 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런 아이들은 림프 마사지를 해주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또 트람플린 (trampoline)이라고 아이들이 뛰어 노는 기구가 있는데 이 기가 위에서 뛰어 놀게 하시면 림프 순환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또한 골무꽃 (skullcap)이라는 약초가 림프가 잘 안돌 때 좋은 약초입니다.
글 : 터치포헬스 국제강사 김도림
원문보기 : 두개골의 결함으로 오는 학습장애, 자폐증, 주의력 산만 치료
http://cafe.daum.net/newtouchforhealth/dEvl/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