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담상조(肝膽相照)
간담상조(肝膽相照)
출전 : 후청록 문의 : 간과 쓸개를 서로 본다.
해의 : 서로 꾸미고 감춤이 없이 마음의 문을 열어놓고 사귐.
당나라 때의 문인 한유(韓愈)는 우정을 중시한 인물로서 그에게는 훌륭한 친구들이 많았다. 그 중 유종원(柳宗元)은 그 당시 수구파와의 싸움에 밀려 유주자사로 좌천되는 불행을 겪게 되었다. 이때 그의 동료 문인이자 절친한 벗이었던 유우석(柳禹錫) 역시 파주의 자사로 좌천되었다.
유종원은 유우석의 좌천 소식을 접하고 눈물을 흘리며 이렇게 말했다.
"파주는 깊숙한 두메로 살 만한 곳이 못 된다. 더욱이 노모와 함께는 갈 데가 아니니 내가 대신 가야겠다."
유종원은 즉시 황제에게 상소를 올렸고 그 결과 유우석은 파주보다는 환경이 좀더 나은 연주로 가게 되었다. 훗날 한유는 유종원을 위해 쓴 '유자후묘지명'이라는 글에서 유종원의 깊은 우정을 되새기며 이런 글을 남겼다.
'사람이 어려운 처지에 놓였을 때 비로소 참다운 의리를 알 수 있다. 평상시 아무 일 없을 때는 서로 그리워하고 즐거워하며 연회석상에 놀러다니며 서로 사양하고, 쓸개나 간을 꺼내 보이고 해를 가리켜 눈물을 흘리며 죽어도 배반하지 않는다고 맹세할 수 있다. 그러나 일단 머리칼 한 가닥만큼의 이해관계라도 생기면 거들떠보지도 않고 아는 척도 하지 않는다. 함정에 빠져도 손을 뻗어 구해 주기는 커녕 오히려 더 깊이 차 넣고 돌을 던지는 사람이 많다. 이런 행위는 무지한 짐승도 차마 하지 못하는데, 그런 사람들은 오히려 스스로 뜻을 얻었다고 자부한다.'
* 새해가 밝았습니다. 이 글은 저한테 많은 생각을 일도록 해 주는 귀결입니다. 반성하면서
밝고 빛나는 새해가 되도록 애 쓰겠습니다. 샘바다 화이팅!!!